본문 바로가기

의약품 정보

겨울철 유행하는 독감 감기에 걸렸을 때 먹는 약은?

반응형
오늘의 주제: 겨울철 유행하는 독감 감기에 걸렸을 때 먹는 약

 

사람이 살아가면서 꼭! 겪는 다는 질병인 감기! 추운 겨울이 찾아오면 더 극성을 부리는 감기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계신가요? 감기에 걸렸을 때 먹는 약의 성분을 자세히 알고 계신가요? 요즈음 독감이 유행함에 따라 많은 분들이 병원을 찾고 계시고, 감기약을 복용하고 계신데요. 오늘은 감기약의 성분과 그 효능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interest

 

1. 감기약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 기침억제제: 감기에 걸렸을 경우 기침을 많이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경우에 기침억제제를 복용하여 기침을 가라앉힐 수 있는데요. 덱스트로메토르판 성분이 포함된 약물이 가장 흔하게 유통되고 있습니다. 이 약물은 기침을 억제하여 불편한 상황을 해소시켜줍니다. 기침과 가래가 동반된다면 진해거담제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해열진통제: 감기의 가장 흔한 증상인 열은 해열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이나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같은 약물은 통증을 완화시키고 열을 낮추는데 효과적입니다. 이 약물은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설명서에 명시된 권장된 용량을 복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진해거담제: 기침시 가래가 함께 동반될 경우 진해거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아이페네신이 포함된 약물이 가장 대표적이며 가래를 묽게 하여 배출을 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 항히스타민제: 콧물이나 재채기 같은 알레르기 증상은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면 됩니다. 로라타딘, 클라리틴이나 세티리진(지르텍)과 같은 약물이 가장 흔하게 사용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시켜 증상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알레르기가 심할 때는 권장 용량을 지켜 복용을 해주면 됩니다.
  • 비충혈제거제: 코막힘이 심할 경우 비충혈제거제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페닐레프린이나 슈도에페드린이 포함된 약물은 혈관을 수축시켜 코안의 붓기를 줄여줘 숨쉬기를 편하게 만들어줍니다. 하지만 이 약물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니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처방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2. 감기약물 사용시 주의사항

 

약물은 개인마다 부작용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유통되는 약품이라도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복용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내성이 생길 수 있는 약품이 있기 때문에 자신의 건강을 고려하여 복용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른 약물과 혼용하여 복용을 할 경우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약물간 상호작용을 주의하여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감기약의 부작용

 

감기약을 복용시 두근거림, 심박수 증가, 구역질, 메스꺼움 등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몸에서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것이므로 처방된 약의 사용을 중단하고 가까운 병원을 내원하여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진찰을 받고 다른 약을 처방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Pinterest


글을 마무리하며

 

감기는 보통 자연스레 치유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독감과 같이 우리몸을 공격하는 바이러스의 힘이 큰 경우 자연치유가 되기 어렵고, 일상생활을 유지하기가 힘든데요. 이럴경우 꼭 의사의 진단과 전문 의약품을 통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추운 겨울 감기에 걸리기가 더 쉬운 계절입니다. 모두 건강 잘 챙기시고 활기찬 하루를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모두의 건강한 삶을 응원하며 오늘의 건강이야기 마치겠습니다.

반응형